인프라/GIT

GIT 명령어 정리

infitry 2022. 8. 11. 17:21
반응형

0. git init
- local에 git 저장소 생성

1. git log
- git commit log를 보여준다.
- git log --oneline 으로 간결하게 확인가능

2. git reset (이력남기지 않고 되돌리기)
HEAD^ 위치에는 git log를 통해 확인한 commit key값을 넣을 수 있다.


git reset --soft HEAD^
   head commit 취소 후 staged 상태로 워킹 디렉토리에 보존
git reset HEAD^, git reset --mixed HEAD^
  head commit 취소 후 unstaged 상태로 워킹 디렉토리에 보존
git reset HEAD~2
  마지막 2개의 commit 취소
git reset --hard HEAD^
  head commit 취소 후 unsaged 상태로 워킹 디렉토리에서 삭제

위험해서 권장하진 않지만, 이미 원격 서버에 push 한 상황이면 reset한 이력을 push 해줘야 한다. 
git push --force

3. git revert (이력남기고 되돌리기)
- revert 시 기존 커밋 이력도 남아있기 때문에 다른 브랜치와 merge한 이력이 있으면 비교가 제대로되지 않음.

4. git commit -m '커밋메시지'
- git commit

5. git push
- 원격서버로 push

6. git status
- 현재상태 확인

7. git branch
- 브랜치 목록 및 현재 사용 브랜치 확인

8. git switch {브랜치명}
- 브랜치 변경

반응형